Gold & Black 감성의 전문가용 모니터 - ASUS ProArt PA329C
전문가용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색재현률이 높은 제품이 선호된다. 전문가의 경우 보통 본인이 원하는 색이 결과물로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색재현률이 높지 않은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모니터로 확인되는 색상과 실제 출력했을 때의 색상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꼭 출력을 하지 않더라도 보여주려고 의도한 색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모니터를 사용해 작업을 한다면 제작물의 퀄리티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일이 발생할수도 있는 일이다.
이런 전문가들의 니즈에 부흥하기 위해 모니터 전문 제조업체들은 전문가용 모니터 제품을 몇가지 모델정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런 제품들은 보통 가격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것고 사용자 층도 한정적이라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ASUS에서는 ProArt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32인치 4K HDR을 지원하는 PC329C는 전문가들이 선호할만한 끝판왕 급의 스펙을 갖춘 모니터이다. 특히 98% DCI-P3, 84% Rec.2020, 100% Adobe RGB, 100% sRGB 색재현율을 지원해 전문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색역에서 상당히 우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패키지의 경우 흰색 박스에 컬러로 제품 특징이 표기되어 있다. 4K HDR에 ASUS가 가장 선호하는 IPS 패널 그리고 우수한 색재현률이 잘 표현되어 있다. 전문적인 작업 시 모니터를 보는 시간이 길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력보호를 위한 기능들도 포함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제품 구성품은 모니터 본체, USB Typc-C to C 케이블, USB Type-A to C 케이블, 메뉴얼, DP 케이블, HDMI 케이블 등이 포함된다.
해당 제품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USB Type-C 단자를 통해 화면 출력 및 USB 허브 기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DP나 HDMI 케이블도 제공되지만 USB 케이블이 2종 제공되는 점은 또하나의 매력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멀티 스탠드의 경우 받침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틸트, 스위블, 피봇, 엘리베이션 모두를 지원해 전문가가 원하는 각도로 언제든지 조절해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탠드 아래쪽에는 선정리 홀도 마련되어 있어 깔끔한 선정리를 도와준다.
제품은 전체적으로 Gold 색상과 Black 색상이 조화를 이룬 느낌이다. 텍스트나 포인트가 되는 부분에는 Gold 컬러가 사용되어 프리미엄 제품임을 색상만으로도 느낄 수 있다.
텍스트나 인쇄가 모두 Gold 컬러로 되어있고, 테두리 부분에도 Gold 컬러를 사용한 모습이다.
제품 후면에도 ASUS 로고의 경우 Gold 컬러가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에어홀이 타공되어 있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OSD 설정은 조그셔틀 다이얼과 6개의 버튼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실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조그셔틀만으로도 쉽게 OSD 설정이 가능하다. 32인치의 무거운 모니터가 쉽게 도난당하지는 않겠지만 도난방지를 위한 켄싱턴락도 제대로 배치되어 있다.
입력단자 가장 왼쪽에는 On/Off 스위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전원 단자, HDMI 단자 3개, DP 단자 1개, USB Type-C 단자 1개, USB 허브 역할을 위한 USB 3.0 단자 2개, 오디오 출력 단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제품 테두리에도 크게 신경을 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Gold 색상의 프레임을 추가로 덧대거나 측면 테두리 부분에 물결 모양의 패턴을 넣은 것은 해당 제품 이외에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후면 입출력 단자 이외에도 측면에 USB 3.0 단자 2개를 배치해 USB 허브 확장성을 높였다.
스탠드와 모니터를 결합한 모습이다. 32인치 대형 모니터임에도 안정적으로 거치 및 스탠드 조절이 가능하다.
엘리베이션을 통해 높낮이를 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책상 높이를 조절하기 어렵고, 대형 인치 모니터 특성상 바닥에 어중간한 스탠드를 배치해도 무게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엘리베이션을 이용해 쉽게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높이로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틸트를 통한 위/아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더욱 세밀하게 사용자에게 맞는 각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전문가의 경우 모니터를 1대만 사용하지 않는다. 다수의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좌/우로 약간 각도를 조절하여 배치하는 것이 한눈에 들어올 수 있는데, 45도 정도의 스위블을 지원하므로 대부분의 환경에서 모니터를 굳이 옮기지 않아도 좌/우 각도를 변경해 배치할 수 있다.
세로로 긴 디자인 작업의 경우 피봇 기능을 통해 결과물을 한눈에 확인해 가면서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문가용 제품 답게 Preset 부분에 표준 모드 이외에도 sRGB, Adobe RGB, DCI-P3, DICOM, Rec. 709, HDR_PQ Rec2020 등을 지원한다. 사진이나 출력물 관련해서 sRGB 나 Adobe RGB 모드가 많이 사용될 것이고, 해당 제품이 의료용 장비는 아니지만 DICOM 같은 경우 의료쪽에서 많이 사용되며, DCI-P3, Rec. 709, Rec2020은 동영상 컨텐츠나 방송 영역등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시력보호를 위한 블루 라이트 필터를 지원하는데, 색상 확인이 중요한 전문가들의 특성상 해당 기능은 Level 0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 취향에 따른 색상 설정도 가능하다. 다만 Preset을 통해 원하는 색역에 맞춰 설정이 가능하므로 꼭 해당 설정을 추가적으로 건드려야될 이유는 없다.
화면을 분할해 사용할 수 있도록 PIP/PBP 기능도 지원한다 다양한 기기를 연결해 하나의 모니터에 연결 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용지 규격등을 실제 규격에 맞춰 화면에 영역으로 표시시켜주는 QuickFit 기능도 지원한다. 출력물과 관련된 전문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출력전 용지 규격에 맞춰 디자인을 확인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무려 5개의 입력 단자를 지원하므로 입력단자 지원은 TV급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게이밍 모니터는 아니지만 Adaptive-Sync 기능을 통해 게임에서 발생하는 스터터링이나 티어링을 방지할수도 있다.
해당 제품은 캘리브레이션도 지원하는데, 일정 주기마다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고 알려주는 리마인더 기능도 제공된다. 캘리브레이션의 경우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꼭 자주해야되는 작업은 아니지만 모니터의 경우 사용하다보면 색이 조금씩 틀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조금 더 완벽한 색을 맞춰주기 위해 캘리브레이션 작업이 필요하다.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Shortcut 으로 설정해 빠르게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자의 경우에도 이미지나 영상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시에는 색재현률이 너무 떨어지는 제품은 기피하는 편이고 노트북의 경우에도 색재현률이 우수한 패널이 탑재된 제품을 사용한다.
실제 포토샵을 통한 사진 작업이나, 동영상 편집 작업등을 간단하게 진행했을 때 4K 해상도로 인해 넓어진 작업 화면으로 인해 작업효율성이 높아졌고, 여기에 색재현률이 우수해 기존에 사용하던 모니터에서는 잘 구분되지 않았던 사진 테두리 부분의 색상 차이나 명암 구분이 가능했다.
필자가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를 모두 대변할 수 없겠으나 적어도 공통적으로 넓은 해상도와 높은 색재현율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선호되는 부분이며, 특히 전문적인 동영상 작업에서는 높은 화질을 얻기 위해 CPU로만 인코딩 작업을 진행하는 등 약간의 화질 저하나 색상 차이에도 크게 신경을 쓰는 만큼 전문가용 모니터는 전문적인 작업의 영역에서 만큼은 필수 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ASUS ProArt PA329C는 Type-C 케이블을 통한 화면 출력이 가능하므로 최신 노트북이나 맥북 등과 연결하여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므로 데스크탑 사용자 뿐만 아니라 노트북을 주로 사용해 작업하는 전문가에게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Gold & Black 컬러 조합을 통해 고급스러운 느낌까지 더해져 사무실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써의 역할도 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모니터를 선택할 때 색재현율과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특히 중요시 하는 사용자라면 ASUS ProArt PA329C는 만족도가 높은 선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