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라이젠은 경쟁사와 달리 저가형 메인보드도 메모리 오버클럭을 지원합니다. 추가로 라이젠 3세대 CPU들은 DDR4-3200MHz를 기본 클럭으로 지원합니다. 마이크론은 이미 몇달전부터 3200MHz 메모리를 판매중이고, 국내에도 몇일전에 팀그룹 3200MHz 메모리가 정식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삼성전자 DDR4-21300 유저분들이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삼성램과 A320 메인보드 조합에서 오버클럭 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기존에 쓰던 라이젠 7 3700X 프로세서를 기준으로 오버클럭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라이젠 7 3700X는 8코어 16쓰레드에 가격도 30만원대 정도에 구입이 가능해 8코어 CPU 중에서도 최근 제품중에는 가장 가성비가 좋은 제품입니다. 솔직히 레이스 프리즘 RGB LED 쿨러를 기본 제공하는 것도 상당히 메리트 있구요.
오버클럭에 앞서 준비된 시스템 사양을 살짝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사용된 메인보드는 ASUS의 EX A320M Gaming 메인보드 입니다. 이 제품은 A320 메인보드면서 전원부 방열판, RGB LED, 4개의 램슬롯을 갖추고 있고, PCIE 슬롯 보강 처리, 검빨 조합의 컬러가 적용되어 있어 상당히 수준높은 A320 메인보드라고 해도 무방할 제품입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라이젠 7 3700X와 ASUS EX A320M Gaming 메인보드의 모습입니다. STCOM에서 3년 보증한다는 내용을 스티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TA 케이블, 메인보드, I/O 패널 실드 등으로 구성품은 저가형 제품답게 불필요한 것들을 많이 담고있지는 않습니다.
메인보드를 보면 6Phase 전원부는 A320 중에서는 괜찮은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블랙 + 레드 컬러 조합덕분에 제품이 더 고급스럽게 보인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메모리 슬롯은 4개나 되어서 메모리 확장성도 우수합니다.
PS/2 단자, DVI, HDMI, USB 단자 6개, LAN, 오디오 등 필요한 단자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습니다. 내장그래픽 사용하는 3200G나 3400G 같은 것을 사용하기에도 충분해 보입니다.
CPU와 메모리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메모리는 삼성전자 DDR4-21300이고, 주차는 19년 46주차 입니다.
메인보드에 인쇄된 제품 모델명(EX-A320M-GAMING)을 확인할 수 있고, PCIE 슬롯에는 보강처리가 되어있어 소켓 손상으로 부터 조금 더 높은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전원부 방열판도 ASUS로고가 인쇄되어 있고, EXPEDITION 글자 부분에는 RGB LED 효과도 적용되어 있어 A320 메인보드로 비교적 저렴한 모델이지만 프리미엄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메모리 오버클럭을 위해 바이오스에 진입합니다. 바이오스 진입방법은 간단하다면 간단한데요. 바로 부팅 시 DEL 키를 연타해주면 쉽게 바이오스 설정 화면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ASUS의 경우 Ai Tweaker라는 메뉴에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F7 버튼으로 Advanced Mode로 들어간 후 Ai Tweaker 메뉴로 가면 다양한 설정항목이 있는데, 이중 Memory Frequency를 3200MHz로 변경하고, DRAM Voltage를 1.35V 로 지정해 줍니다.
이어서 DRAM Timing Control 항목으로 가서 CAS# Latency를 16, Trcdrd/Trcdwr, DRAM RAS# PRE Time을 18로 마지막으로 DRAM RAS# ACT Time을 36으로 수정하고 F10 키를 눌러 저장하고 빠져나오면 오버클럭 적용이 완료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CPU-Z 툴을 사용하면 메모리 오버클럭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위에 DRAM Frequency가 설정한 클럭의 절반으로 표시되면 제대로 설정이 된 것입니다. 사실 여러가지를 바꾸지 않고 불과 1~2분 정도면 쉽게 설정이 가능하고, 만약 이 설정이 제대로 통하지 않으면 CAS# Latency는 18, DRAM RAS# ACT Time는 38 정도로 설정하면 보통 삼성전자 DDR4-21300 8GB 제품을 기준으로 오버클럭이 가능합니다.
(필자가 올해 만져봤던 삼성전자 DDR4-21300 8GB 제품은 대부분이 설정으로 충분히 동작했습니다. 굳이 오버클럭된 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클럭이 정말 잘 들어갔습니다.)
오버클럭 여부는 Prime95나, AIDA64 시스템 안정성 테스트에서 메모리까지 체크하고 부하를 수십시간 정도 걸어서 테스트하는 것이 가장 좋겠으나, 몇시간 정도만 잘 동작하더라도 대부분의 사용에서는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CPU,메인보드,메모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00X3D 완벽 호환 DDR5 추천 메모리, 마이크론 Crucial DDR5-6400 CL38 Pro Overclocking (0) | 2025.02.21 |
---|---|
라이젠 프로세서에 잘 맞는 DDR5 추천 메모리, 마이크론 Crucial DDR5-6400 CL38 ProOverclocking (0) | 2025.02.19 |
최강의 미니PC 구성해보기 (8700G + Deskmini X600 + D5 메모리) (0) | 2024.11.04 |
마이크론 DDR4-3200 메모리 오버클럭 (0) | 2020.12.05 |
5GHz 달성, i9 9900KS 성능은? (0) | 2019.11.23 |